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git - git flow 사용법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더보기
JAVA - 생성자, 메서드, static 생성자는 인스턴스 변수를 초기화시켜준다. 항상 해왔던 것처럼 문법과 특징을 알려주겠다. 문법: public 클래스명([변수,..]){} 특징: 반드시 호출해야 실행된다. ==> 호출방법 2가지 1) 다른 클래스에서 new 클래스명([값,..]); 2) 자신 클래스에서 this([값,..]); -반드시 클래스명으로 지정해야 된다. -개발자가 명시적으로 생성자를 지정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생성자를 제공한다. ( 기본 생성자, default 생성자 ) ==> public 클래스명(){} 단 개발자가 명시적으로 생성자를 지정하면 기본 생성자는 제공이 안된다. -오버로딩(overloading) 생성자가 가능하다. ==> 개념: 하나의 클래스 안에 동일한 이름의 생성자가 여러 개 지정이 가능함. ==> 규칙: 반드시.. 더보기
JAVA - 클래스 클래스 너무 말만 들었을 때 어렵다. 일단 하나하나 알아가 보자 먼저 객체이다. 객체는 눈으로 보이는 사물이다. 예> 모니터 객체, 노트북 객체, 책상 객체, 학생 객체,.... 객체에는 2가지 구성요소가 있는데 우리는 학생 객체를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1) 속성 - 객체를 표현할 수 있는 특성 - 예> 학번, 이름, 전화번호, 주소,.... 2) 동작(기능) - 객체의 행위. - 예> 등교하기, 공부하기, 하교하기,... 이러한 구성 요소가 있다. 이걸 왜 배우냐?? 바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 Object Oriented Programming: OOP ) 이 때문에 우리는 클래스를 배우게 되는데 OOP란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속성과 동작 구성요소로 되어있는 객체(object)라는 개념을 이용해서 프로.. 더보기
JAVA - 2차원 배열 오늘은 설명이 조금 짧을 수 있으나 중요해서 설명을 해야겠다. 또 내가 나중에 볼 수 있게 구분 지어 나눠야겠다. 라는 생각에 글을 적겠다. 2차원 배열이란 무엇일까? 이해하기 쉽게 설명을 하자면 표와 같은 개념이다. 열과 행이 있는 그런 배열이다. 옛날에 체육시간이나 군대에서 2열 종대 해쳐 모여!! 해보 왔을 것이다. 이것은 앞의 2 사람을 기준으로 뒤로 줄을 서는 것이다. 이처럼 배열에서는 일반 배열은 1줄로 나열하는 것이며 2차원 배열은 1-1, 1-2 2-1, 2-2 3-1 이런 식으로 줄을 세운다 생각하면 좋다. 3-1은 왜 하나 일까? 배열에 필요한 부분이 아니면 공백으로 둬도 된다. 그럼 이제 2차원 배열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자. 2차원 배열도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1) 정방형 가. .. 더보기
JAVA - 배열 자바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3가지 방법이 있다. 변수, 배열, 컬렉션 변수는 이전에 글로 봤을 것이다. 변수는 데이터 하나만 저장이 가능하며 데이터의 개수만큼 변수가 필요하다. 두 번째는 배열이다. 배열은 변수와 다르게 여러 개의 값을 저장할 수 있다. 하지만 크기변경이 불가하며 배열에 저장되는 데이터형은 동일해야한다. 배열 자체는 참조형이고 저장되는 데이터는 기본형도 되고 참조형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컬렉션은 나중에 올리는 글에 다시 언급을 하겠다. 배열(array) 용도: 데이터 저장 특징: 참조형 데이터이다. 참조형인 배열은 반드시 저장영역을 만들 때 new 이용한다. (중요) 저장되는 메모리는 heap이다. 한번 생성된 배열은 크기 변경이 불가능하다. ( 크기를 늘리고 싶으면 배열을 다시 new.. 더보기
JAVA - 반복문 자 이때까지 연산자, 조건문을 배웠다. 오늘은 반복문에 대해 알아보자. 반복문을 사용하려면 for문을 알아야 한다. 기본적으로 for문은 for(초기값; 조건식; 증감식){} 이런 문법을 가진다. 종류로는 1. for문 문법: for( 초기값 ; 조건식 ; 증감식 ){ } -용도: 반복 횟수 예측이 가능한 경우에 사용된다. *주의: 위 3가지 구성요소(시작값, 조건식, 증감연산자)가 하나라도 빠지면 원하는 반복이 안 될 수 있다. 무한루프에 빠질 수 있다. 2. while문 문법: 초기값; while(조건식){ 문장; 증감식; } -용도: 반복 횟수 예측이 힘든 경우 ( 무한루프 ) -특징: 조건식값에 따라서 문장이 한 번도 실행 안될 수도 있다. 3. do~while문 문법: 초기값; do { 문장; .. 더보기
JAVA - 조건문 오늘은 조건문에 대해 알아보자!! 기본적으로 조건문 조건문이 뭘까? 쓴이는 이렇게 생각한다. 조건문은 어떠한 조건이 있을 때 어떻게 해결할래? 라고 생각을 했다. 실제 처음 조건문을 배웠을 때 if문이라 배웠는데 if는 만약에 이다. 그래서 난 조건문 자체를 만약에 피자를 못 먹은 사람이 있으면 어쩔래? 피자가 안 왔다면 어쩔래? 이런 문제들을 경우에 따라 해결하기 위해 만든 것을 조건문이라 생각을 했다. 자 이제 본론적으로 조건문의 종류와 문장 형식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1) 조건문(분기문) - 단일 if문 : 조건식에 따라서 실행여부가 결정된다. 문법: if(조건식){ 문장 1; 문장 2; .. } 한 가지 조건만 있을 경우 if를 한 번만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을 때 사용한다. - if~else문.. 더보기
JAVA - 연산자 오늘은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연산자 먼저 알아보자! 1. 연산자 (Operator) 1) 산술연산자 + (수치데이터 이용하면 연산은 더하기로 처리된다. 문자열과 다른값(문자열,비문자열)을 + 하면 연결되어 반환됨) - ( 빼기 ) * ( 곱하기 ) / (정수값으로 나누기하면 결과값은 정수값으로 반환된다. 10/3=>3, 10/3.0=3.3333333 ) % (나머지) 이런 연산자를 통하여 사칭연산을 할 수 있다. 2) 대입연산자 용도: 변수에 임의의 값을 저장(할당,대입)하는 역할이다. a=b; // a에 b를 저장(할당,대입)함. a+=b; // 풀어쓰면 a=a+b; 동일 a-=b; // 풀어쓰면 a=a-b; 동일 a*=b; // 풀어쓰면 a=a*b; 동일 a/=b; // 풀어쓰면 a=a/b..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