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조건문에 대해 알아보자!!
기본적으로 조건문
조건문이 뭘까?
쓴이는 이렇게 생각한다.
조건문은 어떠한 조건이 있을 때
어떻게 해결할래?
라고 생각을 했다.
실제 처음 조건문을 배웠을 때
if문이라 배웠는데
if는 만약에 이다.
그래서 난 조건문 자체를
만약에 피자를 못 먹은 사람이 있으면 어쩔래?
피자가 안 왔다면 어쩔래?
이런 문제들을 경우에 따라 해결하기 위해 만든 것을
조건문이라 생각을 했다.
자 이제 본론적으로 조건문의 종류와 문장 형식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1) 조건문(분기문)
- 단일 if문 : 조건식에 따라서 실행여부가 결정된다.
문법:
if(조건식){
문장 1;
문장 2;
..
}
한 가지 조건만 있을 경우 if를 한 번만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을 때 사용한다.
- if~else문: 조건식에 따라서 실행되는 문장이 달라지는 경우에 사용된다.
문법:
if(조건식){
//조건식이 true인 경우에 실행
} else {
//조건식이 false인 경우에 실행
}
한 가지 조건이 될 경우와 되지 않을 경우를 나뉘며
조건의 참과 거짓이 될 때
하나의 결과값만 나오게 만든다.
-조건식이 여러 개
가) 다중 if문
- 명시적으로 연산자를 지정한다. 예> ==, > , >= ,....
문법:
if(조건식 1){
} else if(조건식 2){
} else if(조건식 3){
}
여러 가지의 조건이 있을 때 사용하며
하나하나 조건식을 활용하여 여러 가지
경우를 대비한다.
나) switch문
- 명시적으로 연산자를 사용 안 한다.
묵시적으로 == (동등연산자) 사용한다.
문법:
switch(변수){
case 값 1: 문장 1; break;
case 값 2: 문장 2; break;
..
default: 문장 n;
}
- break문은 옵션이지만 없으면 일치된 case문 이후의 모든 문장이 실행된다.
일반적으로 switch문은 조건이 여러 개인 경우에 사용된다.
- switch문에서 사용 가능한 데이터 타입은 6개이다.
( byte, short, int, char, String, enum )
enum 이놈은 나도 처음 배울 때 몰랐다.
뭘까?
enum 은
관련된 상수들의 집합이다.
일반적으로 비슷한 종류의 상수를 그룹화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처럼 다양한 조건문의 종류가 있다.
우리는 지금 이런 여러 가지 조건문의 사용법과
간단한 특징을 알아보았다.
앞으로 여러 가지 배울 것이 있지만
이까지 왔다는 건 의지가 있다는 것이다.
점점 어렵겠지만 힘내서 열심히 하자!!
'JAVA언어의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 2차원 배열 (2) | 2024.03.25 |
---|---|
JAVA - 배열 (0) | 2024.03.24 |
JAVA - 반복문 (0) | 2024.03.20 |
JAVA - 연산자 (0) | 2024.03.18 |
JAVA 기초적인 데이터 종류와 변수 (2) | 2024.03.17 |